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개기월식이란 무엇인가?

by 꿈부자언니 2022. 11. 8.
반응형

개기월식이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개기월식을 볼 수 있다는 내용의 신문기사를 볼 수 있다. 2022년 11월 8일 오후 7시 16분 12초부터 85분 동안 붉은 달을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다. 오늘 밤 개기월식 우주쇼가 펼쳐진다. 블러드 문이라는 말도 나온다. 오늘은 개기월식이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겠다.

목차
1. 월식 뜻 알아보기
2. 월식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기
3. 개기월식 알아보기
4. 천왕성 엄폐 배워보기
5. 일식 배워보기

1. 월식 뜻 알아보기

월식은 한자로 月: 달월 蝕 : 좀 먹을 식으로 달이 좀먹는다 달을 갉아 먹는다는 의미이고 영어로는 lunar (달의) eclipse (일식 월식의 식, 빛을 잃음)로 달이 빛을 잃는 것을 이야기하는데 달은 빛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빛을 잃은다는 의미는 안 보인다의 뜻이라 할 수 있겠다.

 

개깅월식 월식의 원리
월식 원리 출처 : 한겨례신문 20150318

2. 월식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기

월식이란 태양-지구-달이 일렬로 늘어섰을 대 지구 그림자에 달이 들어오는 현상으로 보름달일때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달이 보름일 때마다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월식은 1년에 2번 정도 일어난다. 지구가 태양과 달 사이에 자리 잡게 되면 지구에서 달을 관측할 수 없게 되는데 달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지구에서 볼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개기월식 개기일식부분월식 부분일식
2022년 11월 8일 개기월식 노원천문우주과학관에서 망원경 촬영

 

3. 개기월식 알아보기

개기란 한자로 皆(다, 모두 개) 旣(이미 기, 벌써 기, 이전에, 원래)의 뜻을 가졌다. 개리라는 천문학에서 한 천체가 다른 천체에 의하여 완전히 가려지는 현상을 말하며 개기월식이란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 태양 빛을 받지 못하고 어둡게 보이는 현상이다.

 

노원천문우주과학관
2022년 11월 8일 개기월식 노원천문우주과학관에서 관측

 

4. 천왕성 엄폐 배워보기

엄폐란 가리어 숨김이라는 뜻으로 천체의 빛이 행성이나 위성과 같은 다른 천체에 의하여 가려지는 것을 말한다. 궤도면에서 달의 뒷면에 항성, 행성 등의 천체가 위치하여 가려지는 현상을 말하는데 천왕성 엄폐는 천왕성이 달 뒤에 위치해 보이지 가려지는 것이다.

5. 일식 배워보기

일식은 태양-달-지구의 위치로 지구와 태양 사이에 달이 끼어 태양을 가리는 것이다. 일식이란 달 자체가 태양을 가리는 것이 아니라 달의 그림자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는 지역은 매우 좁고 일식이라는 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태양, 달, 지구 천제가 모두 빠른 속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일식이 지속되는 시간도 매우 짧다. 지구에서 관측할 수 있는 대부분의 일식은 8분 이내에 끝난다.

 

 

오늘은 개기월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다. 다음 개기월식은 2025년 9월 8일 이라고 한다. 2025년 9월까지 개기월식이 없는 것은 아니고 위치상 대한민국에서 관측가능한 개기월식이 2025년 9월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