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천절 어떤 날 인가
10월 3일은 개천절입니다. 개천절, 홍익인간, 단군, 곰, 호랑이, 쑥과 마늘 등 우리 어릴 때 학교 다닐 때부터 많이 듣고 많이 배우며 자랐습니다. 아는 것 같지만 설명하려면 어려운 개천절이 어떤 날일까요. 오늘은 개천절 뜻과 의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개천절 뜻과 의미
개천절[開天節] 글자 그대로 풀어보면 열'개' 하늘'천' 하늘이 열리다 라는 뜻입니다. 개천절은 우리 민족 최초 국가인 고조선 건국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입니다. 서기전 2333년 단군기원 원년 음력 10월 3일에 최초의 민족국가인 단군조선을 건국했음을 기리는 뜻으로 제정되었습니다.
개천절은 '개천'의 본래의 뜻으로 볼 때 단군조선의 건국일을 뜻하기 보다는 이보다 124년 전인 천신인 환인의 뜻을 받아 환웅이 처음으로 하늘을 열고 태백산(백두산)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 신시를 열어 홍익인간·이화세계의 대업을 시작한 날인 서기전 2457년 음력 10월 3일을 뜻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성이 있습니다.
개천절은 민족국가의 건국을 축하하는 국가적 경축일이면서 문화민족으로서의 새 탄생을 기념하고 축하하며 하늘에 감사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적인 명절이라 할 수 있습니다. 민족의 전통적 명절을 기리는 행사는 예로부터 제천행사를 통해 거행되었고 고구려의 동맹, 부여의 영고, 예맥의 무천 등의 행사와 마니산의 제천단, 구월산의 삼성사, 평양의 숭령전 등에서 행해진 제천행사가 있었습니다.
개천절 이름 언제부터였을까
개천절이라 이름짓고 시작한 것은 대종교로 1909년 1월 15일 개천절을 경축일로 제정하고 매년 행사를 거행하였습니다. 일제강점기에 개천절 행사는 민족의식을 높이는데 기여하였고 상해 임시정부는 개천절을 국경일로 정하여 경하식을 행하고 경축행사도 거행하였습니다. 광복 후 대한민국에서 계승하여 개천절을 국경일로 정식 제정하였습니다.
개천절 10월 3일 음력일까 양력일까
개천절은 원래 음력 10월 3일이므로 이를 지켜오다가 1949년 문교부에서 위촉한 '개천절 음·양력 환용심의회'의 심의 결과 음·양력 환산이 불가능하다는 이유와 '10월 3일'이라는 기록이 소중하다는 의견에 따라 1949년 10월 1일에 공포된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음력 10월 3일을 양력 10월 3일로 바꾸었습니다.
단군신화 홍익인간
삼국유사 기이편에 실린 고조선 건국 신화에 나오는 홍익인간은 '널리 인간 세계를 이롭게 한다'는 뜻입니다. 삼국유사의 기록을 살펴보겠습니다.
고기에 이르기를 옛날에 환인의 아들인 환웅이 자주 세상에 뜻을 두어 인간 세상을 탐내므로 아버지가 아들의 뜻을 알고 삼위태백을 내려다보니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할 만했다. 이에 천부인 3개를 주고 가서 다스리게 하였다. 환웅이 무리 3천을 이끌고 태백산 꼭대기의 신단수 아래로 내려와 그곳을 신시라 이르니 이가 환웅천왕이다. 그는 풍백, 우사, 운사를 거느리고 곡식·생명·질병·형벌·선악 등 무릇 인간의 360여 가지 일을 주관하여 인간 세상을 다스리고 교화하였다. 이 때 곰 한 마리와 호랑이 한 마리가 같은 굴에서 살았는데, 늘 신웅(환웅)에게 사람 되기를 빌었다. 마침내 환웅이 신령스러운 쑥 한 심지와 마늘 20개를 주며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곧 사람이 되리라 하였다. 곰과 호랑이는 이것을 받아먹었다. 곰은 세 이레(21일)를 금기하여 여자가 되었지만, 호랑이는 참지 못하여 사람이 되지 못했다. 웅녀는 혼인을 할 상대가 없어 늘 신단수 아래에서 이이 배기를 축원하였다. 환웅이 잠깐 변해 웅녀와 결혼하여 아이를 낳았으니 이름을 단군왕검이라 하였다.
단군 신화에는 우리 민족의 가치 의식이 그대로 나타나 있고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홍익인간과 세상으로 나아가 도리로 교화한다는 특징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단군 신화에서는 하늘의 신인 환웅이 인간 세계로 내려와 살기를 원하고 땅의 곰과 호랑이도 인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다른 신화와 다르게 세계의 창조나 내세에 대한 내용이 없고 현재의 인간 세상만을 중시하며 하늘의 신인 환웅도 어떻게 하면 인간 세상을 이롭게 하고 도리로 교화할 것인가와 인간 사회의 온갖 일 곡식·생명·형벌·선악 등을 주관하고 관심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단군신화 홍익인간은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인간의 사회적이고 현실적인 삶을 어떻게 잘 살아가느냐는 내용의 사회적이고 실천적인 개념이며 다른 신화들과 달리 신들사이의 대립이나 신과 인간의 갈등이 아닙니다. 곰과 호랑이마저도 굴에서 살며 대립하지 않는 조화와 평화를 중시하는 세계관이 담겨 있고, 환웅이 웅녀와 혼인하여 단군을 낳는 것은 신의 세계와 인간 세계의 결합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오늘은 개천절의 뜻과 단군신화 홍익인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0월 3일 개천절은 국경일로 태극기를 게양하는 날입니다. 개천절의 뜻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