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마민주항쟁이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부마민주항쟁이란 무엇인가 생소하고 많이 들어보지 못한 역사적 사건이다. 명칭으로만 유추해볼 때 민주화운동의 한 종류이고 부마는 왕의 사위를 일컫는 말로 사용된다. 여기서 말하는 부마는 경상도 지역의 부산과 마산을 말한다. 오늘은 부마민주항쟁이란 어떤 역사적 사건인지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겠다.
부마민주항쟁 역사적 배경 알아보기
부마민주항쟁 역사적 배경은 1979년 10월 16일부터 20일까지 부산과 마산지역을 중심으로 학생들과 시민들이 박정희 정권의 유신독재에 반대한 민주항쟁 시위 사건이다. 정치·사회적으로 갈등을 빚어오던 유신체제는 1979년 백두진파동고와 박정희 대통령 취임 반대운동으로 시작된 반정부 인사들에 대한 연행·체포 등의 강압적 조치에도 야당과 재야 세력의 저항이 거세지면서 유신 정국이 더욱 긴장된 상태였고 당시 공화당이 김영삼 신민당 총재의 의원직 제명안을 변칙 통과시켜 정국은 파국 상태가 되었다.
1970년대 말 한국경제는 세계 제2차 오일쇼크와 함께 세계자본주의체제 위기 심각성에 빠졌고 중화학공업의 과잉 중복투자는 한국 경제를 심각한 위기로 몰고 가 국제통화기금의 구제금융과 정부는 1979년 4월 긴축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경제안정화 정책을 수용하였다. 경제안정화 정책은 경제위기로 어려운 처지에 있던 중소기업들이 도산하여 기업의 부도율이 사상 최고치로 치솟고 사정이 어려웠던 도시 하층민들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부마민주항쟁 왜 부산 마산에서 일어났는지 살펴보기
부산과 마산은 노동집약적 제조업이 집중되어 있고 1979년 당시 부산은 광공업 비중이 42.1%인데 비해 전국은 23.7%로 광공업 취업 구성비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특히 부산은 신발, 의류, 합판 등 영세하고 낮은 기술 수준의 저부가가치 제조업이 주를 이루었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부산 내 제조업 종사자 비중이 70%대를 웃돌았고 1979년에 들어서 부산지역의 경제상황이 극도로 악화돼 부산지역의 부도율은 전국의 2.4배, 서울의 3배였으며 수출증가율도 전국 평균에 훨씬 못 미칠 정도로 하락하였다. 부마민주항쟁은 사회경제적 모순이 모여 일어났다.
부마민주항쟁 전개 알아보기
1979년 10월 16일 부산대학교 학생 5,000여 명의 유신정권 물러가라 정치탄합 중단하라는 구호를 외치며 교내에서 시작한 반정부 시위를 시작으로 그날 저녁 부산시청 앞에 집결하여 부산시내까지 진출하며 애국가 등을 부르고 반정부 구호를 외치며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 10월 17일에는 시민들도 합세하여 시위가 계속 확산되어 충무파출소 한국방송공사 서구청 부산세무서 등이 파손되고 진압하던 경찰차량 전소와 파손으로 경찰만으로는 진압이 어렵다고 판단한 정부가 10월 18일 0시 부산에 비상계엄령을 선포 계엄군을 투입하여 1,058명 연행 66명 군사재판에 회부되었다.
계엄군의 해제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는 부산 시민, 학생들은 진압되었지만 시위는 마산까지 확산되어 마산대학교 경남대학교 학생들을 시작으로 민주공화당사 파출소 방송국 등을 타격하며 시위가 더욱 거세졌다. 10월 19일에는 마산수출자유지역 근로자와 고등학생들까지 시위에 참가하면서 시위는 더욱 격렬해졌고 마산시내는 한때 치안부재의 무정부 상태가 되기도 했다. 10월 20일 정부는 마산 창원 일대에 위수령 발동하여 505명 연행 59명 군사재판 등의 강경책을 펼쳐 진압했다.
부마민주항쟁 결과 살펴보기
부마민주항쟁의 위수령 발동 6일 후인 10월 26일 10·26 사태가 발발하였고 부마민주항쟁은 1970년대 유신체제 하에 쌓여있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종교 등 각 분야의 여러 모순의 폭발이었고 학생들의 군부독재 타도와 유신 철폐 시위를 전국적 규모의 민주화 운동으로 확산시키고 사실상 18년간 지속된 박정희 정권의 붕괴를 촉진시킨 결정적인 사건이었다. 이후 2018년 4월 부마민주항쟁이 최초로 발생한 1979년 10월 16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자는 논의가 시작되어 2019년 9월에 10월 16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다.
오늘은 부산과 마산지역을 중심으로 일어난 민주화운동 부마민주항쟁 관한 자세한 역사적인 사실을 살펴보았다. 부마민주항쟁은 부마민주화운동, 부마항쟁, 부마사태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10월 16일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다시 한번 되새겨보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