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자본증권 뜻 무엇인지 알아보자.
신종자본증권 뜻 무엇인가? 오늘 신문에 금융권 회사의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미행사 파장에 대한 신문 기사를 보았다.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등 어렵고 생소한 경제 용어가 등장했다. 오늘은 신종자본증권 뜻과 관련 용어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다.
목차
1. 신종자본증권 뜻 알아보기
2. 콜옵션이란 무엇인가
3. 신종자본증권 만기 알아보기
4. 콜옵션 미행사 의미 살펴보기
1. 신종자본증권 뜻 알아보기
신종자본증권이란 주식과 채권의 성격을 동시에 가진 증권으로 주식처럼 만기가 없거나 매우 길고 채권처럼 일정한 이자나 배당을 주는 금융상품이다. 두 가지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하이브리드채권 또는 영구채라고 불리기도 한다. 보통 만기가 30년 이상이면서 우선변제 순위는 후순위채권보다 후순위다. 신종자본증권은 국제결제은행 BIS 비율 적용 시 기본자산에 속하기 때문에 은행들의 자기 자본 확충 수단으로 사용된다.
2. 콜옵션이란 무엇인가
콜옵션 Call Option 이란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하는데 옵션거래에서 특정한 기초자산을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옵션이란 어떤 상품이나 유가증권 등을 미리 정한 가격으로 일정 시점에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사지 않거나 팔지 않을 권리도 포함되어 있어 옵션은 선택권을 의미한다. 즉,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뜻하는 것이다. 콜옵션은 살 수 있는 권리 풋옵션을 팔 수 있는 권리이다.
3. 신종자본증권 만기 알아보기
앞서 말했듯이 신종자본증권은 만기가 없거나 매우 긴 30년 이상이다. 신종자본증권은 명목상 5년 경과 후 발행사가 조기상환 여부를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 구조지만, 투자업계에서는 관행적으로 5년을 만기로 보고 있다. 조기상환권 미행사가 채무불이행은 아니지만 회사 신용도에는 커다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4. 콜옵션 미행사 의미 살펴보기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미행사는 신종자본증권은 관행적으로 만기보다 이른 5년을 만기로 보고 콜옵션은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하므로 만기전에 발행한 금융회사가 자금을 조달하여 만기 시 돌려주어야 하는 금액을 주지 않겠다는 의사 표현을 함으로써 조기에 자금을 돌려줄 수 없다는 의미가 된다. 그래서 채무불이행은 아니지만 회사의 신용도에 타격을 입는다는 것이다.
오늘은 신종자본증권에 대해 알아보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