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고사 뜻 무엇인지 알아보자
일제고사 어릴 적 학교 다닐 때 들어보던 말입니다. 일제고사 학생들이 싫어하는 시험 느낌이 납니다. 일제고사는 전국적으로 한 번에 실시하는 평가 시험을 말합니다. 이러한 일제고사가 폐지되었다가 다시 부활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일제고사 뜻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일제고사 뜻 알아보기
일제고사 뜻은 초·중·고교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학력 수준 평가하기 위하여 전국의 모든 학교가 같은 시간에 같은 문제로 시험을 치르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입니다. 2008년 10월 14일부터 15일까지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의 5과목으로 실시하였습니다. 매년 교육부에서 평가 계획을 세우면 하ㅏㄱ교교육과정평가원이 문항 출제와 선택형 문항의 채점 및 종합 결과분석 하고 각 교육청이 제시된 물음에 따라 답안을 작성하는 형식으로 단답형, 완결형, 논문형등의 서답형 문항을 채점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습니다.
일제고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알아보기
일제고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교육과정의 도달 정도를 평가하며 평가 교과에 대한 성취 결과는 개별 학생들에게 교육과정 도달 정도에 따라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의 4단계로 통지합니다. 학교에서는 성취결과를 학교별 홈페이지나 학교 알리미 사이트에 공시하고 국가는 시·도 교육청 단위의 성취 수준 비율과 향상도 등을 분석하여 발표합니다.
일제고사 평가 범위 알아보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중학교 3학년은 국어, 수학, 영어를 중1~2학년 전 과정과 3학년 1학기 과정을 교과별로 60분씩 시험 보고, 고등학교 2학년은 국어, 수학, 영어를 고등학교 1학년 전과정을 교과별로 60분씩 보았습니다. 국어는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문법의 5개 영역을 평가하였고 수학은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의 5개 영역을 평가하였으며, 영어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개 영역을 평가하였습니다. 과목별로 30~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선다형, 서답형 문항으로 구성 서답형은 전체 문항의 20~30% 정도를 유지하였습니다.
일제고사 의의 알아보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기초학력미달 학생의 학습결손을 보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확보하고 학생 개개인별 및 단위학교별로 학업 성취 수준을 파악하여 교육과정 개선과 행정적·재정적 지원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었습니다. 전국의 모든 학교에서 모든 학생들이 일제히 치르는 형태의 시험이 1998년 전국의 학생들을 성적순으로 줄 세우기와 사교육을 부추긴다 등의 이유로 2017년부터 일제고사 형태의 전수 평가가 폐지되고 표집 평가로 대체되었습니다. 오늘은 일제고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