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 어떤 날인가 알아보자.
한글날 공휴일 10월 9일이라는 것은 많이 알고 있다. 세종대왕이 우리나라 문자인 한글을 만든 날일까? 한글날은 훈민정음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이다. 한글날의 의미가 무엇인지 언제부터 공휴일로 제정이 되었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한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아보자.
조선 전기 제4대 임금 세종대왕이 세종대왕 25년인 서기 1443년에 완성하여 3년 동안 시험기간을 거쳐 세종 28년인 서기 1446년에 반포되었다. 한글은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여 반포한 우리나라 고유의 문자이며 자연 발생한 문자가 아니라 세종대왕의 지시하에 과학적이고 창의적이며 합리적으로 만들어졌고 세계가 인정한 우수한 문자이다. 훈민정음 장제 전까지 우리나라는 중국의 문자인 한자를 빌려다가 사용하고 있었고 백성들이 배우고 익혀 사용하기에는 어렵고 중국어 문법에 우리말을 맞추어 쓰기 불편하기도 했다.
백성들은 억울함이나 어려움을 관청에 호소하려 해도 마땅히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없었고 억울한 재판을 받아도 바로잡아 주기를 요구할 수 없었으며 편지를 쓰려고 해도 어려운 한자를 배울 수 없었다. 주업인 농사일에 관한 간단한 기록이나 배울 수 있는 방법도 없었다. 세종은 백성들의 사정을 안타깝고 딱하게 여기는 어진 임금으로 혁신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고 남의 글인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적으면 뜻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다고 판단되어 우리말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당시의 상황이 새 글자를 만들어 낼 만한 여러 가지 조건이 갖추어져 있었다.
세종은 학문을 좋아하고 성군으로서의 도리를 깊이 체득하였고 외세에 우리나라를 지키려는 주체성이 강하였으며 백성을 위한 정치를 하려는 민본정신이 강한 데다 혁신적인 정책을 과감히 수행하는 성격을 겸비하고 있었다. 집현전에는 세종을 도울 많은 학자들이 모여있었다. 세종 25년인 서기 1443년 음력 12월 세종은 훈민정음이라는 새 글자를 만들었다.
한글날 원래 이름 알아보기
한글날은 일제강점기인 1926년 처음 제정되었다. 조선어연구회 오늘날 한글학회가 음력 9월 29일 양력으로 11월 4일을 가갸날이라 정하고 서울 식도원에서 기념식을 처음 거행한 것이 한글날의 시초가 되었다. 1926년은 한글 반포 8 회갑인 480년 되던 해였다. 일제강점기 국권을 빼앗기고 억압에 눌려 위축되어 있던 민족정신을 되살리기 위해 한글날을 제정하였다. ㅇ음력 9월 마지막 날인 29일을 한글날로 정한 것은 이 달에 훈민정음이 이루어지다고 세종실록 28년 9 월조의 기록을 근거로 하였다.
한글날이라 명명하지 않고 가갸날이라 했던것은 그때 아직 한글이라는 말이 사용되지 않았고 한글을 가갸거겨고교구규그기나냐... 의 방법으로 배울 때였기 때문에 가갸날이라고 하였다. 한글이라는 이름은 언문, 반절, 가갸글 등으로 불려 오던 훈민정음을 1910년대 주시경을 중심으로 한 국어 연구가들이 으뜸가는 글 하나밖에 없는 글이라는 뜻으로 한글이라고 지었지만 그때 당시까지만 해도 한글이라는 말이 보편화되지 않았다.
한글날 이름 사용 언제부터였는지 알아보기
한글날로 이름을 바꾼 것은 1928년이었고 1931년에는 그동안 음력으로 기념해 오던 한글날을 양역으로 바꾸기로 하고 율리우스력으로 환산아혀 10월 29일로 정하였으나 이 방법에 의문이 생겨 1446년 음력 9월 29일 당시에 우리나라에서 쓰던 그레고리력으로 다시 환산하여 10월 28일로 한글날을 정하고 기념식을 했다.
1940년에 경북 안동에서 훈민정음 원본이 발견되었는데 정동 11년 9월 상한에 정인지가 썼다고 서문에 기록되어있는 것을 확인하고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이 좀 더 명확하게 밝혀졌으나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된 때라 여러 가지 통제가 심해서 기념을 하지 못하였다.
지금의 한글날인 양력 10월 9일에 된 것은 1945년 우리나라 광복 후였다. 정통 11년 9월 상한을 9월 상순의 끝날인 음력 9월 10일로 잡고 그것을 양력으로 환산하여 10월 9일로 정한 것이다. 1946년에 한글날을 법정 공휴일로 지정하여 기념행사를 하였고 일제강점기 한글날 기념행사는 민족주의 국어학자와 소수 ㅇ유지들의 모임으로 이루어졌었는데 이때 비로소 한글날 행사가 전국적인 큰 행사가 되어 해마다 기념식을 크게 하였다.
한글날 공휴일 해제 알아보기
한글날 공휴일은 1970년 대통령령으로 관공서의공휴일에관한 규정에서 공식 공휴일이 되었으나 1990년 휴일이 많은 것은 산업 발전에 장애가 된다는 경제 단체의 문제 제기로 법정공휴일을 축소하면서 그해 8월에 국무회의에서 한글날 공휴일과 국군의 날 공휴일을 법정 공휴일에서 제외하기로 의결하여 한글날을 법정공휴일에서 제외했으나 한글 관련 단체의 꾸준한 한글날 국경일 제정 운동의 결과로 2005년 12월 29일 국회에서 국경일에관한법률을 개정하여 2006년부터 한글날이 ㅣ국경일로 다시 제정되었다.
한글날 대체 공휴일 알아보기
한글날 대체 공휴일은 대체휴일제에 의한 것이다. 대체휴일제는 공휴일이 토요일이나 일요일이 다른 공휴일과 겹치는 경우, 대체공휴일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 제도이다. 이 제도는 2014년부터 시작되었고 초기에는 설날연휴 추석 연휴와 어린이랄이 다른 공휴일과 겹칠 경우에만 적용되었으나 2021년 8월 15일부터 1월1일인 신정 부처님 오신 날 현충일 성탄절을 제외한 모든 공휴일로 확대 적용되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