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4절기 유래

by 꿈부자언니 2022. 9. 9.
반응형

24절기 유래

24절기를 외우는 사람은 많지 않지만 우리는 계절의 변화를 느끼면서 신기하게 절기와 잘 맞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4절기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려고 만든 것입니다. 계절은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의 4 절기로 시작됩니다. 오늘은 24절기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4절기 절기도 [출처:다음백과사전]

1년을 12절기와 12중기로 나누고 이것을 24절기라고 하는데, 절기는 한 달 중 월초, 중기(中氣)는 월중에 해당합니다. 태양력에 의하면 절기는 매월 4~8일 사이에 오고, 중기는 19~23일 사이에 오며, 천문학적으로 태양의 황경이 0°인 날을 춘분으로 하여 15°이동했을 때를 청명 등으로 구분해 15°간격으로 24절기를 나누었습니다.

 

봄 :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여름 :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가을 :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겨울 :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24절기 봄

24절기 유래
24절기 봄

1. 입춘 :  양력 2월 4일경. 봄이 시작되는 날입니다. 가정에서는 콩을 문이나 마루에 뿌려 악귀를 쫓고, 대문 기둥 대들보 천장 등에 좋은 글귀를 써 붙인고, 마을에서는 공동으로 입춘 굿을 크게 하고 농사의 기초인 보리 뿌리를 뽑아 풍년 흉년을 첨 쳤습니다.

 

2. 우수 : 양력 2월 19일경. 눈이 비로 변하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된다는 뜻입니다. 이때 대동강 물이 풀리고 물고기가 올라오며, 기러기는 다시 추운 지방을 찾아 떠난다고 합니다.

 

3. 경칩 : 양력 3월 6일경.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기 시작한다. 이때 보리싹의 성장을 보고 그해 농사의 풍년 흉년을 가늠했다. 1년 동안의 빈대를 모두 잡기 위한 흙담을 쌓거나, 물에 재를 타서 그릇에 담아 두기도 하였다.

 

4. 춘분 : 양력 3월 21일경. 태양이 적도를 똑바로 비추고 있어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진다. 농촌지역에서는 씨 뿌릴 준비를 한다. 바람이 강해 꽃샘추위가 온다.

 

5. 청명 : 양력 3월 21일경. 봄이 되어 삼라만상이 맑고 밝으며 화창해 나무 심기에 적당한 시기. 대부분 한식일과 겹친다.

 

6. 곡우 : 양역 4월 20일경.  봄비가 내려 여러 가지 작물에 싹이 트고 농사가 시작된다. 

24절기 여름

24절기 유래
24절기 여름

7. 입하 : 양력 5월 5일경. 여름의 시작. 농작물이 자라기 시작하며 해충과 잡초가 많아져 농가의 일손이 바빠진다.

 

8. 소만 : 양력 5월 21일경. 햇볕이 충만하고 만물이 자라서 가득 차게 된다는 뜻으로 초여름 모내기가 시작된다.

 

9. 망종 : 양력 6월 6일경. 논보리나 벼 등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의 씨를 뿌리는 시기. 

 

10. 하지 : 양력 6월 21일경. 12시에 태양이 가장 높게 있어 북반구에서는 낮시간이 1년 중 가장 길고, 일사량과 일사 시간도 가장 많다.

 

11. 소서 : 양력 7월 7일경. 장마전선이 걸쳐있어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온다. 농사에 쓸 퇴비를 준비하고 논두렁에 잡초를 뽑는다.

 

12. 대서 : 양력 7월 23일경. 더위가 매우 심함. 중복과 겹치고 장마전선으로 인해 비가 자주 온다.

24절기 가을

24절기 유래
24절기 가을

13. 입추 : 양력 8월 7일경. 가을이 시작되어 서늘한 바람이 분다. 김장용 무 배추를 심는다.

 

14. 처서 : 양력 8월 23일경. 더위가 멈춘다는 뜻으로 싸늘해지기 시작한다. 이 시기가 지나면 아침과 저녁으로 서늘해져 일교차가 심해진다.

 

15. 백로 : 양력 9월 8일경. 가을이 시작되었다는 느낌이 든다. 장마가 끝나고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지만 태풍의 피해를 입기도 한다.

 

16. 추분 : 양력 9월 23일경. 춘분으로부터 반년 되는 날.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고 추분이 지나면 밤의 길이가 길어진다. 추수가 시작된다.

 

17. 한로 : 양력 10월 8일경.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여 농촌에서는 추수로 바쁜 시기이다.

 

18. 상강 : 양력 10월 23일경.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지만 밤 기온이 내려가 서리가 내린다. 동물들은 일찍 겨울잠에 들어간다.

24절기 겨울

24절기 겨울

19. 입동 : 양력 11월 7일경. 겨울이 시작되는 날. 가정에서는 이날을 기준으로 김장준비를 한다.

 

20. 소설 : 양력 11월 22일경. 땅이 얼기 시작하고 살얼음이 얼며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21. 대설 : 양력 12월 7일경. 눈이 많이 내리는 계절. 예로부터 이날 눈이 많이 내리면 다음 해에 풍년이 든다고 했다.

 

22. 동지 : 양력 12월 22일경. 북반구에서는 1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고 추위도 점차 심해지기 시작한다. 팥죽을 쑤어 이웃과 나누어 먹고 집안 곳곳에 놓아 악귀를 쫓았다. 새 달력을 만들어 걸어둔다. 이날 날씨가 따뜻해지면 다음 해에 질병이 많고, 눈이 많이 오고 추우면 풍년이 들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23. 소한 : 양력 1월 5일경. 본격적으로 추워진다.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옛말이 있을 정도로 1년 중 가장 춥다.

 

24. 대한 : 양력 1월 20일경. 동지가 지난 한 달 후 또는 소한이 지난 반달 후에 온다. 겨울을 마무리하는 절기로 소한에 얼었던 얼음이 대한에 녹을 정도로 따뜻하기도 하다.

 

오늘은 24절기 유래와 각 절기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